kit.kr 에머슨의 초절주의에 나타난 근대성 문제 > kit6 | kit.kr report

에머슨의 초절주의에 나타난 근대성 문제 > kit6

본문 바로가기

뒤로가기 kit6

에머슨의 초절주의에 나타난 근대성 문제

페이지 정보

작성일 22-12-14 23:49

본문




Download : 에머슨의 초절주의에 나타난 근대성 문제.hwp




,인문사회,레포트



에머슨의 초절주의에 나타난 근대성 문제
「보상론」은 낙천주의의 기본교의를 천명한 것으로서 선, 악의 구분에 있어서 선은 적극적인 것이며 악은 소극적인 것이고 절대적인 것은 되지 ... , 에머슨의 초절주의에 나타난 근대성 문제인문사회레포트 ,




「보상론」은 낙천주의의 기본교의를 천명한 것으로서 선, 악의 구분에 있어서 선은 적극적인 것이며 악은 소극적인 것이고 절대적인 것은 되지 ...
레포트/인문사회
순서

Download : 에머슨의 초절주의에 나타난 근대성 문제.hwp( 39 )











설명




「보상론」은 낙천주의의 기본교의를 천명한 것으로서 선, 악의 구분에 있어서 선은 적극적인 것이며 악은 소극적인 것이고 절대적인 것은 되지 못한다는 악의 비 실재성을 가정함으로써 출발하고 있다아 1841년에 출간된「대영」에서, ‘대영’은 선한 것으로써 이 우주에 도덕을 가져오며, 또한 이것은 인간을 포함한 자연의 본질(Essence)로써, 모든 존재들은 대영혼으로부터 그 존재가 파생된 것이기에 그 본질은 같다고 하면서 인간의 내면뿐만 아니라 이 세상의 내면도 궁극적으로는 선하다고 했다. 이 보상의 theory(이론)은 상식적인 어구, 즉 일반사람들도 ‘악행은 결국에 불행을 수반하며, 선행은 행복을 가져온다’는 생각을 하게 됨은, 많은 속담과 동화, 우화를 통해서 이미 낡은 생각이라고 간주했기에, 그래서 에머슨은 이것을 life(인생) 사 일반에 통용되는 대원리에서 파악하고 현실적 차원에서 우주를 조화로운 것으로 해석하려 함으로써 이상적 의의를 부여했다. 선은 적극적인 것이지만 악은 오로지 결여일 뿐 절대적이 아니며, 죽음이거나 비실체라고 定義(정이)한다. 그러나, 이러한 선, 악의 구별의 기준은 무엇이었으며, 그 기준을 에머슨은 무엇이라고 말하는가? 물질이 난무하는 비인간화된 사회하에서, 인간이 고통에 신음하고 악행에 유린당하고 있을 때, 비실존이라는 악에 대한 개념(槪念)은 고통받는 이들에…(생략(省略))
에머슨의%20초절주의에%20나타난%20근대성%20문제_hwp_01.gif 에머슨의%20초절주의에%20나타난%20근대성%20문제_hwp_02.gif 에머슨의%20초절주의에%20나타난%20근대성%20문제_hwp_03.gif 에머슨의%20초절주의에%20나타난%20근대성%20문제_hwp_04.gif 에머슨의%20초절주의에%20나타난%20근대성%20문제_hwp_05.gif 에머슨의%20초절주의에%20나타난%20근대성%20문제_hwp_06.gif
다. 요컨대 이와 같은 악의 定義(정이) 및 이 세계로부터 악의 제거는 순수한 추상적, 관념적 논리일 뿐, 현실의 생에 있어서의 악의 문제와는 그 차원을 달리하는 것이다.
「보상론」의 선악의 이원론은 ‘인과응보’라는 등식관계는 성립시켜 놓고 있지만 선과 악의 양면의 본질은 일부분만 보고 있다아 그 논리에 근거하여 이 자연(세계)은 실존하는 것이므로 그것은 본질상 선이며 악은 실존에 대한 비실존, 실물에 대한 환영과 같이 소극적인 것이어서 인간정신의 진지한 연구대상은 될 수 없다는 것이다. 실체는 광대한 긍정이어서 부정을 배려하고 스스로 균형을 취하는 것으로서, 악은 결여이거나 무이며, 해로운 것이라고 한다.
전체 6,074건 1 페이지
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.

evga.co.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.
따라서 상품·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.
Copyright © kit.kr. All rights reserved.
PC 버전으로 보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