남북 교역 및 대북 투자분쟁의 해결
페이지 정보
작성일 23-01-10 21:27본문
Download : 남북 교역 및 대북 투자분쟁의 해결.hwp
또한 1992년 12월에는 종래 정무원 산하의 무역부와 대외경제사업부를 통합하여 대외경제위원회를 신설한 바 있다 그리하여 1994년 12월부터 해외시장을 적극 개척하고 외국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대외 경제활동업무를 반관반민단체인 대외경제협력추진위원회와 국제무역촉진위원회의 양대 기관으로 이관시켰는데 이 두 기관은 정무원 기구인 대외경제위원…(skip)
Download : 남북 교역 및 대북 투자분쟁의 해결.hwp( 73 )
남북교역및대북투자분쟁의해결 , 남북 교역 및 대북 투자분쟁의 해결경영경제레포트 ,
다.
남북교역및대북투자분쟁의해결
레포트/경영경제






설명
남북 교역 및 대북 투자분쟁의 해결
순서
,경영경제,레포트
Ⅰ. 서론
Ⅱ. 북한의 대외개방과 중재제도 present condition
Ⅲ. 개방에 따른 법률제정과 분쟁해결절차
Ⅳ. 남북당국간 분쟁해결 합의서의 체결
Ⅴ. 교역 및 투자분쟁의 해결을 위한 남북 협력課題
Ⅵ. 結論(결론)
* 참고한 문헌 *
1. 개방정책의 추진과 기구의 개편
1970년대까지만 해도 북한은 대외경제부문을 사회주의 경제건설에 필요한 외화획득을 위한 보조수단으로 간주하였으나 1990년대에 들어 기존의 자립경제정책만으로는 심각한 경제난을 타개해 나갈 수 없게되자 `무역제일주의`를 채택하고 개혁ㆍ개방정책을 추진함으로서 정책방향을 일단 선회하였다.
그 정책수행의 일환으로 북한은 1991년 12월 28일 정무원 결정 제74호로 나진시의 14개 동ㆍ리와 선봉군의 10개 리를 포함하는 621㎢를 `자유경제무역지대`로 지정하면서 동 지대에 합영ㆍ합작ㆍ외국인단독기업을 허용하는 한편, 다른 나라 사람들이 투자한 자본과 재산, 기업운영을 통하여 얻은 소득과 기타 소득을 법적으로 보호한다고 발표하였다.